미국에 갈 때마다 ‘마일’ 때문에 골치아픈 사람들을 위하여
|
제가 사는 캐나다 역시 우리나라처럼 미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국으로 갈 때마다 헛갈립니다. 도대체 기본적인 도량형이 왜 이리 통일이 안 되는 걸까요?
이유는 단 한가지. 예전부터 그렇게 써 왔기 때문이겠죠. 그러다 보니 지금 와서 무엇인가 하나로 통일하려 해도 그에 수반되는 비용이 만만치 않고 이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새로운 단위에 쉽게 익숙해질리 만무하니까 누군가의 도량형에 내가 따라간다는 것은 쉽지 않을 겁니다.
그러니 할 수 없습니다. 내가 두 도량형을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밖에…그래서 찾아 봤습니다. 일부는 제 경험에서 나온 실전 이론입니다. 그러니까 너무 복잡하게 따지지 마시길… 오늘은 두 도량형을 자 없이도 정확하지는 않지만 대강 비슷하게 맞추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일단, 아래 도량형 환산표는 잘라 놓으면 평소 유용하게 쓰일 것입니다. 그 밑에 제가 여기저기서 찾아보고 또 경험적으로 쉽게 환산할 수 있는 개인적인 방법도 기술해 놓았습니다.
1. 길이
단위 |
센티미터 |
미터 |
인치 |
피트 |
야드 |
마일 |
1 cm |
1 |
0.01 |
0.3937 |
0.0328 |
0.0109 |
- |
1 m |
100 |
1 |
39.37 |
3.2808 |
1.0936 |
0.0006 |
1 인치 |
2.54 |
0.0254 |
1 |
0.0833 |
0.0278 |
- |
1 피트 |
30.48 |
0.3048 |
12 |
1 |
0.3333 |
0.00019 |
1 야드 |
91.438 |
0.9144 |
36 |
3 |
1 |
0.0006 |
1 마일 |
160,930 |
1,609.30 |
63,360 |
5,280 |
1,760 |
1 |
(팁 #1) 1마일 = 1.6킬로미터 / ‘마일’로 표시된 미국 도로 표지판은 도착 시간을 계산할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만약 시속 60마일로 정속 주행 중이고 다음 휴게소까지 40마일이 남아 있다면 정확히 40분 후에 그 휴게소에 도착할 겁니다. 60분이 1시간이니까요. 미국의 차는 우리나라나 캐나다와는 달리 속도계가 ‘마일’로 설정돼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마일’도 이럴 때는 ‘킬로미터’보다 더 편리합니다.
(팁 #2) 1 피트 = 30센티자와 비슷 / 이는 보통 남성 어른의 발 크기에 비하면 약간 큰 정도 길이입니다. 발(foot)로 잴 수 있는 거리니까 피트(feet)겠죠? 대개는 신발을 신은 채로 따지면 더 정확하지요.
캐나다에서는 집의 면적을 따질 때 미터법을 쓰지 않고 관습적으로 ‘평방피트(Square Feet)’로 계산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평’을 사용하는 것처럼요. 그런데 처음 가 본 집이라도 대충 면적을 따질 때는 ‘미터’보다도 ‘피트’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편합니다. 한 발씩 교차해 한 줄로 걸으면서 몇 걸음 걸었나 따지면 되니까요. 무슨 말이냐 하면요. 이 벽에서 저 벽까지 한 줄로 한 걸음씩 걸어가면서 내 걸음수를 세었는데 15걸음이 걸렸다면 그 길이는 아마 15피트 안짝일 것이라는 말입니다. 이 방법으로 방향을 90도 바꿔 다시 센 후 두 길이를 곱하면 바로 면적(Square Feet)가 나옵니다.
한국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캐나다나 미국 주택의 주방 등에 깔려 있는 타일은 대개가 표준 사이즈가 1피트에 맞춰져 있습니다. 그래서 타일이 몇 개 깔려있는지를 세어보기만 해도 대충 바닥 면적을 알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1,500 스퀘어피트짜리 집이라면 타일을 1,500개 깔 수 있는 집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현실적으로 타일만 바닥에 깐 집은 없습니다만...
(팁 #3) 1 인치 = 2.54 센티 / 이는 보통 남성 어른의 엄지 손가락 첫 마디 길이와 비슷한 길이입니다. 그래서 TV나 컴퓨터 모니터 사이즈 등을 잴 때 엄지 손가락을 세워 대각선으로 이어보면 그 사이즈를 대충 알 수 있습니다.
(팁 #4) 1 피트 = 12 인치 / 10인치가 아닙니다. 인치법은 12진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영국 출신이라서 그러겠지요?
2. 넓이
단위 |
평방미터 |
아르 |
평방피트 |
평방야드 |
에이커 |
평방미터 |
1 |
0.01 |
10.764 |
1.1958 |
0.00024 |
아르 |
100 |
1 |
1,076.4 |
119.58 |
0.02471 |
평방피트 |
0.092903 |
0.000929 |
1 |
0.1111 |
0.000022 |
평방야드 |
0.83613 |
0.00836 |
9 |
1 |
0.000207 |
에이커 |
4,049.8 |
40.4680 |
43,560 |
4,840 |
1 |
(팁 #1) 1평방피트 = 0.09 평방미터, 반대로 1평방미터는 10.764 평방피트 / 1평방미터에 비하면 대략 10배가 약간 넘습니다. 아까 말했듯이 1평방피트(SQ.FT.)짜리 타일을 바닥에서 많이 볼 수 있죠.
3. 무게
단위 |
그램 |
킬로그램 |
톤 |
그레인 |
온스 |
파운드 |
그램 |
1 |
0.001 |
0.000001 |
15.432 |
0.03527 |
0.0022 |
킬로그램 |
1000 |
1 |
0.001 |
15432 |
35.273 |
2.20459 |
톤 |
1000000 |
1000 |
1 |
- |
35273 |
2204.59 |
그레인 |
0.06479 |
0.00006 |
- |
1 |
0.00228 |
0.00014 |
온스 |
28.3495 |
0.2835 |
0.000028 |
437.4 |
1 |
0.0625 |
파운드 |
453.592 |
0.45359 |
0.00045 |
7000 |
16 |
1 |
(팁 #1) 1 파운드 = 0.45 킬로그램 / 그러니까 파운드는 킬로그램에 비해 대략 반 정도에 조금 못 미칩니다.
(팁 #2) 1 온스 = 28.3 그램 또는 0.28 킬로그램
그러므로 식당에서 어른들이 먹기에 제일 적당한 양인 8온스 스테이크는 대략 226 그램, 4분의 1 킬로그램에 조금 못 미치는 양입니다.
그러니까 이게 좀 부담스러운 분이거나 특히 여성분들이라면 8온스보다는 6온스를 시켜 드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대개 스테이크에 함께 나오는 사이드 음식들 (프렌치 프라이, 샐러드...등)도 푸짐하니까요. 여기에 앞에 놓인 빵도 드시면 6온스만 드셔도 대개는 충분합니다. 저같은 사람은 빼고요.
우리나라 식당에서도 8온스가 기본이던가요? 먹어본지가 오래되서 잘 모르겠네요.
(팁 #3) 1 파운드 = 16 온스 / 이번에는 16진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4. 부피
단위 |
cm3 |
m3 |
ℓ |
입방피트 |
갤런 |
cm3 |
1 |
0.00001 |
0.001 |
0.00003 |
0.000264 |
m3 |
10000000 |
1 |
1000 |
35.3165 |
264.18 |
ℓ |
1000 |
0.001 |
1 |
0.03531 |
0.26418 |
입방피트 |
28316.8 |
0.02831 |
28.3169 |
1 |
7.481733 |
갤런 |
3785.43 |
0.00378 |
3.78543 |
0.16368 |
1 |
(팁 #1) 1갤런 = 3.79 리터
그러므로 평소 38 리터 정도 개솔린을 넣는 사람이라면 10 갤런 정도를 넣으면 엇비슷합니다. 이건 미국 주유소에서 개솔린 넣을 때 아주 유용하게 쓰이는 겁니다.
5. 섭씨 <-> 화씨 변환
C |
F |
-20 |
-4.00 |
-15 |
5.00 |
-10 |
14.00 |
-5 |
23.00 |
0 |
32.00 |
5 |
41.00 |
10 |
50.00 |
15 |
59.00 |
20 |
68.00 |
25 |
77.00 |
30 |
86.00 |
(팁 #1) C=5/9(F-32) / F=9/5C+32
이 공식은 학창 시절 누구나 다 배웠지만 제대로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공식입니다. 저도 마찬가지… 사람이 이런 걸 어떻게 다 외우고 살겠습니까? 어쨌든 화씨는 물의 어는 점을 32도, 끓는 점을 212도로 하고 그 사이를 180등분한 온도 체계입니다. 따라서 온도를 100단계로 나눈 섭씨에 비하면 온도단계가 5:9의 비율로 나눠집니다. 역시 이런 것도 배우긴 했지만 이런 걸 외우고 다니는 천재는 거의 없습니다. 진짜 천재라면 그러다 머리가 터진다는 걸 먼저 알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그래도 외워야 살겠다면, 섭씨 0도가 화씨 32도라는 것만 기억하면 의외로 쉽게 외울 수는 있을 겁니다.
(팁 #2) 이것도 귀찮고 저것도 귀찮다….그저 어느 정도 오차는 신경쓰지 않을테니 대충이라도 맞춰야 살겠다… 이런 필요성은 화씨로 맞춰져 있는 미국 호텔방에서 실내 온도를 섭씨로 맞춰야 할 때 저절로 나오는 말입니다. 실제로 미국 호텔방이 화씨로 맞춰져 있는 것을 잘 모르고 온도 조절을 잘 못 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않도록 쉽게 대충~~~ 맞추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이렇게요.
화씨를 섭씨로 바꿀 때는 화씨 온도에서 32나 30을 뺀 후 결과값으로 나오는 숫자(이걸 X라고 하겠습니다)를 ‘2’(이것은 오차가 나온다는 것을 알면서도 5/9를 5/10로 생각하는 방식입니다)로 나눠 X에서 다시 빼주면 어느 정도 비슷하게 나옵니다.
예를 들어 화씨 50도라면 ‘50-30=20’을 먼저 계산, 아니 산수한 후 결과값으로 나온 20을 다시 2로 나눕니다. 그럼 10이 되죠? 이 값을 먼저 수식에서 나온 결과값인 20에서 빼주면...즉, 20-10=10...이렇게요...섭씨 10도가 되는 식입니다.
이것이 복잡하고 기억하기도 어려운 변환 공식을 굳이 외우고 다니지 않고도 온도조절기가 화씨로만 표기돼 있는 일부 미국 (또는 캐나다 일부) 호텔방에서 대충 내 몸에 맞을 정도로 온도 조절을 해야 할 때 편하게 연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 원래 5/9로 해야 하는 공식을 5/10으로 계산한만큼 오차는 위/아래로 분명 존재합니다. 이렇게 계산하려는 온도가 높거나 낮을 수록 오차가 커지지만 그래도 섭씨 영하 5도 이하나 섭씨 영상 30도 이상으로 맞춰야 잠이 온다는 이상한 사람이 아닌 바에는 호텔방에서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겁니다. 최소한 저는 미국 호텔로 가면 이렇게 온도를 맞추고 잡니다. 아, 캐나다 역시 마찬가지로 온도조절계가 화씨로 되어 있는 곳이 많습니다. 특히 나이아가라 쪽에요...미국 관광객들이 워낙 많이 와서 그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요 정도만 이해하고 기억하셔도 이전보다는 미국 여행이 훨씬 편해질 겁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 여기까지 오신 분들이라면 이제 해야 할 일이 하나 남아 있습니다.
제 글이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라고 생각하신다면 더도 덜도 말고 마우스를 2인치 정도만 아래로 내리신 후 아래 [추천] 버튼을 살짜기...눌러 주시기를 바랍니다. 그래야 다른 분들도 함께 나누죠.
2인치가 어느 정도인지 잘 모르시겠다거나 쓸데없이 자가 어디 있더라...하고 책상 위를 이리 저리 뒤적이고 계신다면 이 글을 처음부터 다시 보셔야 합니다.
http://canadastory.tistory.com
'놀러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가을] 가을 풍경 사진 몇 장 (0) | 2009.10.05 |
---|---|
♡ 고향 찾는 연어를 찾아갔던 이야기 (0) | 2008.10.15 |
♡ 백조와 두루미가 알을 낳았습니다 ♡ (8) | 2008.08.02 |
♡ 타조와 원숭이의 공격을 받다 ♡ (5) | 2008.07.18 |
♡ 나무에 열린 빨간 보석 체리를 따러 가다 ♡ (4) | 2008.07.09 |
♡ 건물에 쇠막대를 박아 놓은 이유는? 매너나이트 이야기 (6) ♡ (4) | 2008.06.25 |
♡ 이 다리를 건널 때는 뽀뽀를, Kissing Bridge, Mennonite Story (5) ♡ (8) | 2008.06.20 |
♡ 문명을 거부한 사람들, Mennonite 이야기 (4) ♡ (2) | 2008.06.19 |
♡ 문명을 거부한 사람들, Mennonite 이야기 (3), 시골장에서 (8) | 2008.05.29 |
♡ 문명을 거부한 사람들, Mennonite 이야기 (2) (9) | 2008.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