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에서 온 돌멩이, 혹시 보신 적이 있나요? ☆
화성을 직접 눈으로 보신 적이 있나요?
우리 별, 지구가 속한 태양계 내에서 달 이외에 그나마 지구인이 방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일 큰 별, 화성은 과연 어떤 별일까요?
우리가 화성을 직접 찾아 가 보기는 사실상 어렵겠습니다만, 화성의 작은 돌멩이 하나 정도는 며칠 전에 직접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에 소개합니다.
(※ 이 전시품들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에 있는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라는 과학관에서 상설 전시되고 있는 것입니다.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는 제가 모국의 어린 학생들, 특히 과학 문명에 관심이 많은 어린이들에게 적극 소개드리고 싶은 곳 중 하나입니다. 나중에 기회 있을 때 따로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했으니 일단은, 사진부터 봅시다.
▲ 이 것이 바로 화성에서 날아 온 작은 돌멩이
실제로 화성의 돌을 보니 지구의 보통 바위와 크게 다를 바가 없어 보입니다. 자세히 보면 표면이 아주 깨끗하고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리나 석영 같은 crystal이 섞여 있다는 것을 육안으로도 알 수 있습니다.
▲ 바로 옆의 안내문, “How did a Mars rock get here?”
화성 돌멩이 바로 옆에 있는 안내문입니다. “도대체 이 화성 돌멩이는 어떻게 요기에 이렇게 와 있는 것인고?”
사진 설명을 찍긴 했습니다만, 플래시 때문에 결정적인 문구가 잘 안 보입니다.
눈 비비고 자세히 보자면, 대강 이렇습니다.
“무지 무지 오래 전 옛날 옛날 호랑이 담배 먹던 시절보다도 더 오랜 진짜 진짜 옛날에,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asteroide)이 화성 표면을 때려, 그로 인해 암석 파편(debris)이 우주공간으로 떠 오르게 되었고, 요 것들이 수 백만 년 동안 온 우주를 떠 돌아 다니다가, 지구에 떨어지게 되었나니, 이 것을 이르러 shergottites, 다시 말하여, 화성에서 온 유성이라, 이렇게 부르는데, 지구에서 이 것을 보기는 말 그대로 하늘에서 별 따기라 할 지니, 감히 값으로 매길 수가 없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것이 40개가 채 안 된다고 하더라”
그래서 이 작은 돌멩이를 이렇게 신주단지 모시듯이 전시하고 있나 봅니다.
(??? 그런데, 이 돌이 화성에서 날라왔다는 것을 과연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그게 또 궁금해 지네요. 누구 아시는 분, 안 계세요?)
어릴 때 모국에서 어떤 전시회에서 월석을 볼 기회가 있었는데, 이 곳에서 다시 또 볼 수 있었습니다.
달 돌은 화성 돌 바로 옆에 있습니다.
▲ 요 것이 바로 달 조각 하나
이 달 조각은 옆에 있는 화성 조각처럼 제가 알아서 날라 온 운석(meteorite)이 아니라 아폴로 프로젝트에서 인간이 직접 달에 가서 채집한 달의 원석입니다.
운석 형태의 달 조각은 화성 조각만큼이나 발견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현재까지 발견된 달에서 온 운석은 겨우 50 여 개 정도 밖에 되지 않으니까요. 참고로, 지구에 떨어지는 운석 중 약 99.8%는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에서 온 것이라고 하는데, 그 중 0.1%가 바로 달, 또 0.1%가 화성에서 온 것이라고 합니다.
(ref:
며칠 후면 대한민국의 딸,
캐나다에 살다 보니, 자연스럽게 캐나다 최초의 우주인은 누군지 기술력은 어떤지 등등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 캐나다 최초의 여성 우주인과
※ 가족과 함께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다니면 세상을 보는 눈이 밝아집니다. 아래 링크한 곳도 꼭! 함께 다녀 보세요. 저희 가족이 다녀 본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 주변의 박물관, 전시물 들에 대한 소개들입니다.
앞으로도 가급적 시간을 내서 쉽게 볼 수 없는 내용을 찾아 박물관을 탐방하고 그 내용을 시리즈로 쭈~~욱 소개하여 과학과 자연, 인류에 관심 있는 어린이들과 함께 나눌 예정입니다.
※ 2008/08/07 추가 :
이 글은 지난 4월에 기고했던 글입니다.
그래서 이소연씨 등 이미 한 참 전에 지나가 버린 이야기가 등장했습니다.
뒤 늦게 다시 소개가 되어 우리 가족만 본 것을 여러 분들과 함께 나누게 되는 기회가 생겨 고맙습니다. 기왕 오신 김에, 박물관의 세계를 함께 더 다녀 보시면 좋겠습니다.
0) 가장 최근에 기고한 박물관 이야기, 이 글을 읽고 나면 키보드가 새롭게 보입니다.
2008/08/07 - 한 눈에 보는 타자기의 역사(1), 지식산업시대의 길을 열다
2008/08/08 - 한 눈에 보는 타자기의 역사(2), 지식산업시대의 길을 열다
1) 이 글을 읽고 나면 방 구석 전화기가 신기해 보입니다.
2008/01/19 - ☏ [캐나다] 인류 최초로 전화를 발명한 그 곳을 찾아 가다.
2) 이 글을 읽고 나면 발에 걷어 차이는 돌멩이도 다시 보게 됩니다.
2008/04/06 - ☆ 화성에서 온 돌멩이, 혹시 보신 적이 있나요? ☆
3) 이 글을 읽고 나면 깨진 도자기 하나도 우리 것이라면 귀하게 보입니다.
2008/04/17 - ♨ 해외 박물관 내 한국관, 정말 이래도 되는가?
4) 이 글을 읽고 나면 꺼진 불도 다시 보게 됩니다.
2008/07/04 - ♡ 초창기 전기 산업의 발자취를 따라 가 보다 ♡
5) 이 글을 읽고 나면 껌 하나 영수증도 다시 챙기게 됩니다.
2008/07/08 - ♡ 옛날 서양 가게에서는 어떤 기계를 사용했는가 ♡
6) 이 글을 읽고 나면 박물관 모퉁이 벽도 자세히 보게 됩니다.
2008/07/24 - ◑◐ 박물관에서 본 곤충 채집, 조개, 그리고 장난감 병정 ◐◑
7) 이 글을 읽고 나면 도마뱀도 공룡으로 보입니다.
2008/03/28 - ◑◐ 캐나다의 공룡 전시관, 함께 보러 갑시다 (3) ◐◑
2008/02/09 - ◑◐ 캐나다의 공룡 전시관, 함께 보러 갑시다 (2) ◐◑
2008/02/04 - ◑◐ 캐나다의 공룡 전시회, 함께 보러 갑시다 (1) ◐◑
'박물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눈에 보이는 것이 모두 정답은 아니다 ◑◐ (4) | 2008.08.01 |
---|---|
◑◐ 박물관에서 본 곤충 채집, 조개, 그리고 장난감 병정 ◐◑ (6) | 2008.07.25 |
♡ 옛날 서양 가게에서는 어떤 기계를 사용했는가 ♡ (2) | 2008.07.08 |
♡ 초창기 전기 산업의 발자취를 따라 가 보다 ♡ (2) | 2008.07.04 |
☏ [캐나다] 인류 최초로 전화를 발명한 그 곳을 찾아 가다. (5) | 2008.05.26 |
♨ 해외 박물관 내 한국관, 정말 이래도 되는가? (55) | 2008.04.17 |
◑◐ 캐나다의 공룡 전시회, 함께 보러 갑시다 (1) ◐◑ (6) | 2008.04.07 |
◑◐ 캐나다의 공룡 전시관, 함께 보러 갑시다 (3) ◐◑ (4) | 2008.03.28 |
◑◐ 캐나다의 공룡 전시관, 함께 보러 갑시다 (2) ◐◑ (0) | 2008.02.09 |
☏ 인류 최초의 전화기! 꼭, 함께 보세요. (4) | 2008.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