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2009

올해 유행했던 경제이론과 용어를 한방에

올해 유행했던 경제이론과 용어를 한방에

진부한 표현을 하나 씁시다. 가끔은 진부한 표현이 제일 적당해 보일 때도 있는 법입니다.


2008
년은 말 그대로 다사다난(多事多難)했던 한 해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유난히도 각종 패러디 이론이 원론적 경제 이론의 빈틈을 해석해 주었습니다. 게다가 평소 듣지도 보지도 못 했고 그럴 필요도 별로 없었던 어려운 경제 용어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문 지상에 오르내렸습니다.


2008
년 우리들의 호주머니 사정을 걱정하게 만든 사건들을 2008년에 유행했던 「키워드」와 패러디 이론을 중심으로 그 흐름을 잡아 봅니다.

 

>> 2008 경제기사 지면을 항상 채우던 단어들

 

2008년 초부터 모락모락 연기가 보이기 시작하더니 급기야 여름이 채 지나기도 전에 터졌습니다.


부동산시장 침체는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까지 별다른 규제 없이 마구잡이로 「서브프라임 모기지 subprime mortgage」대출을 해 준 데서 시작되었고 이 모기지 채권이 여러 위험도 높은 금융 상품과 이리 저리 뒤섞여 어디로 숨었는지 만든 사람조차 찾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해진 「파생금융상품
派生金融商品, derivatives 」의 폭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아차 싶었을 때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무너져 내린 금융업계에서는 뒤늦게 정신을 차리기는 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월가는 경악에 젖었습니다. 빅애플은 썩은 애플로 바뀌고 황소도 맥을 못 추렸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린 사람들도 많습니다.


기업 운용 자금도 부족해진 시카고와 디트로이트의 빅3 자동차 업체들 회장께서는 돈 꾸러 가는 주제에 자가용비행기를 몰고가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이건 아무 것도 아닙니다. 전직 증권거래소 소장이었다는 사람이 뒷 사람 돈으로 앞 사람 이자를 펑펑 주는 식의 이른바 「Ponzi Scheme」사기를 벌여 왔습니다.

Ponzi」는 20세기 초 미국에서 이런 식의 사기극을 벌여 그 이름을 사기극의 대명사로 남긴 사람인데 21세기 증권거래소 소장이 그를 다시 살려 놓았습니다.


이번 금융위기가 없었다면 아무도 몰랐을 것이라는 그저 「돈만 벌면 다」라는 식의 「도덕적 해이」가 미국 사회 깊숙이 스며 들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 그 중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2008/12/15 - [생생 영문 뉴스] - [Ponzi Scheme] 허황된 꿈을 좇다 허망한 꿈만 꾸다

 

>> 평론가들이 빗대어 말하던 패러디 이론

 

평론가들은 이런 상황을 빗대 여러 가지 패러디 경제 이론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별다방 있는 곳에 금융 위기가 있다」

 

먼저 최근 가장 화두에 올랐던 패러디 이론으로는 「스타벅스 이론」을 들 수 있습니다.

지난 10 20일 「Newsweek」지에 경제 컬럼리스트 「Daniel Gross」는 「A Venti-sized Recession」이라는 제목의 컬럼에서 스타벅스에서 팔고 있는 Venti 사이즈(제일 큰 컵) 종이 커피 컵에 빗대어 현재 불경기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요는 금융위기가 있는 곳에는 항상 스타벅스 매장이 따라 다니더라는 것입니다. 금융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요구 사항과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이 서로 맞았기 때문에 생긴 현상인데 문제는 서로 성공하기 위해 치달려가던 상황도 그랬지만 두 업종이 문닫는 과정도 비슷하게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2008/12/12 - [생생 영문 뉴스] - [전문번역] 별 다방 가는 곳에 금융 위기가 있다?

 

「월가에서 메인가로」

 

월가는 허상이건 실상이건 기업의 가치 평가에 돈을 거는 이른바 돈 놓고 돈 먹기 식 경제를 상징하며 메인가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열심히 일해 먹고 사는 사람들이 경영하는 일상적인 상점들이 죽 늘어선 거리를 말합니다. 이 가게들은 대개 영세하지만 그런만큼 외형보다는 내실과 실속을 중시하는 가게들입니다. 오마하의 현인,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은 평소 월가의 스타 기업들보다는 메인가의 내실있는 기업들에 더욱 큰 가치가 있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지금은 욕심을 낼만한 때」

 

그가 10 17New York Times」에 『Buy American. I Am.』이라는 컬럼을 게재해 금융 위기에 시달리는 전 세계에 훈수 하나를 던졌습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욕심을 부릴 때는 두려워하고 반대로 다른 사람이 두려워할 때는 오히려 욕심을 내야 할 때다』라며 『주식 값이 폭락한 이 때가 바로 욕심을 부릴 만한 때다. 나는 지금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는 조언을 했습니다. 국가 경제를 살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투자를 결정한 그의 호소 덕분에 한때나마 미국 증시도 안정을 찾았지만 며칠 후 그 역시 자사 주식에서만 96억 달러의 손해를 보고 말았습니다.



2008/10/20 - [생생 영문 뉴스] - $ 워렌 버핏 컬럼『Buy American. I Am』전문 해석과 그 해설 $

 

「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불경기, 불경기 하지만 세상 모든 것이 다 불경기인 것은 아닙니다. 호주머니가 비어가면 상대적으로 저가 상품은 더 잘 팔리게 마련입니다. 경기가 안 좋아 속이 상하면 립스틱이라도 발라야 울화가 좀 풀립니다. 그래서 불경기 때 립스틱은 오히려 더 잘 팔린다고 합니다. 실제 그런지는 아무도 확인해 주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라면이나 소주, 복권, 내복, 보온도시락, 맥도날드 햄버거 등은 요즘 신나는 상품들입니다.

물론 이 불황에도 이른바 「명품」은 날개 돟힌 듯이 팔려 나가고 있다고 모국 신문에서 보도한 것도 있습니다.

어쨌든 일년 내내 걱정 없이 장사하려면 나막신과 우산을 함께 팔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 컨비니언스에서도 「립스틱효과」를 응용한 상품을 발굴하면 불경기에 의외의 대박을 터트릴지도 모를 일입니다.


 

「검은 백조 효과 Black Swan Effect

 

「백조」는 하얀 새니까 「백조」다. 「백조」가 까맣다면 그건 「백조」가 아니라 「흑조」라 해야 맞습니다. 그런데 세상 일이 모두 예외 없는 이론은 없죠. 18세기 초 호주에서 「검은 백조」, 아니 「흑조 (Black Swan)」이 발견된 것입니다.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한 당시 사람들은 상당히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 말이 월가 투자전문가인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라는 사람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언하면서 두루 쓰이게 됐습니다. 탈레브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벌어지기 불과 한달 전 그의 저서 「검은 백조(The black swan)」에서 도저히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러나 현실적으로 분명히 있는 「위기」를 예언했습니다.


 

「잠수 효과 Under Water

 

요즘 캐나다와 미국 신문을 보면 새로 자주 인용되는 부동산 용어가 있습니다. 집이 잠수했다. 영어 표현으로는 「under water

모기지 등 대출금액보다 집 값이 더 떨어져 결국 내 집 값보다 은행에서 꾼 빚이 더 커져 버려 결국은 내 집이 빚이라는 물 속으로 가라 앉아 버린 형국을 말하는 것입니다.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경우 얼마나 많은 집 소유자들이 자신의 집값보다도 더 많은 대출금을 가지고 있는지는 정확한 통계가 없으나 그 숫자가 만만치 않을 정도로 많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 경제 상황과는 직접적 관계는 없어 보이나

 

올해 말 뜻하지 않게 최정점에 오른 유행어는 아무래도 「Shoecide Attack」이 될 것입니다.

 

Shoe 신발」 + suicide Attack 자살 공격」

 

퇴임을 앞둔 부시대통령이 이라크를 극비 방문해 기자회견을 하던 도중 이라크 기자가 신발을 던진 사건을 이야기합니다. 수 많은 아랍 젊은이들이 선택한 자살공격이라는 극한적 항거와 신발을 빗대 만든 용어로 전쟁에 지치고 미국에 반감을 품은 마음이 묻어져 있습니다.

후대에서는 작금의 경제사정도 그 뿌리를 조금 가깝게는 9.11에 이은 이라크 전쟁까지 이어 생각할지도 모릅니다.


 

>> 우리가 기억할 말은

 

Yes, We Can!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당선자, 젊은 오바마가 대선 당시 내 건 슬로건입니다. 다시 일어나야 할 사람들은 미국뿐만이 아닙니다. 미국은 저질러 놓은 일을 빨리 제자리로 돌려 놓아야 하겠지만 우리라 해서 넋 놓고 있을 수 있는 입장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주는 무엇이던지 긍정적인 대답만 해야 하는 Jim Carrey가 출연하는 「Yes, Man」도 보러 갈 만 하겠습니다.

그는 우리 동네에서 가까운 New Market 출신입니다. New Market은 토론토 약간 북쪽에서 출발한다 치면 북쪽으로 404고속도로를 타고 약 30-40분 정도 거리입니다.

사람들은 천의 얼굴을 가진 명 코메디 배우인 줄만 알지만 그는 정말 노력해서 성공한 대표적인 입지전적 인물으로 잘 알려진 사람입니다.

성공하기 전 거의 노숙자처럼 지내던 시절에 버려진 카드 한장에 마치 수표처럼 자신 스스로에게 지급하는 1,000만 달러를 적어 놓고 지갑에 항상 넣고 다녔다 합니다.

그는 영화 출연료 1,000만 달러를 이미 넘기고 그 두 배인 2,000만 달러를 달성한 후 이 가짜 수표를 아버지 장례식에서 꺼내 들었습니다.


Jim Carrey는 긍정적으로 살기 위해 무조건 「YES!」만을 외치다가 결국은 어눌하게나마 한국어까지 배우게 됐습니다.

 

내년에는 여기 저기서 불경기가 다가온다고 협공을 하더라도 기죽지말고 긍정적으로 「Yes, We Can!」을 외쳐 봅시다.


Yes!」 이것보다 더 좋은 말이 어디 있나.

Yes, We Can!」 못 할게 뭐 있나, 할 수 있다는데.




2008/12/30 - [2008-2009] - 티셔츠에 비쳐본 2008년 지구촌 세상

2008/12/26 - [2008-2009] - 이렇게 어물쩍거리고 있다가 내 이런 일이 생길 줄 알았어

2008/12/09 - [생생 영문 뉴스] - [전문번역] NY Times Lest We Forget (Paul Krugman)

2008/12/08 - [생생 영문 뉴스] - [전문번역-CNN] 다 바꿔! 오바마 과연 경제를 살릴 수 있을 것인가

2008/11/25 - [생생 영문 뉴스] - [전문번역] NY Times 컬럼 「판도라의 상자를 비우며」

2008/11/23 - [생생 영문 뉴스] - [전문번역] 노벨상수상자 Krugman교수의 뉴욕타임즈 컬럼



  
파랑새 가족의 캐나다 이야기
http://canadastory.tistory.com